반응형

2023/11 19

강관의 제조방법에 따른 분류

1. 강관의 생산방법에 따른 분류 구분 제조 (용접) 방식 명칭 주요 제조 범위 (외경 MIN~MAX) 특징 Inch mm 장점 단점 용접 강관 (Welded) 전기저항용접 (ERW) 고주파 유도용접 1/8” ~ 12” 10 ~ 318.6 * 高생산성+ 가격 경쟁력 * 저항용접 Tip mark 無 * SIZE제약 (외경,두께) * 소량 작업 애로 고주파 저항용접 4” ~ 26” 114 ~ 660 * 高생산성+ 가격 경쟁력 * 高전력효율 * Conract Tip mark 발생 저주파 용접 ~ 6” ~ 168 * 용접부 경화 小 * 전력효율低, 후육곤란 아크용접 (SAW, TIG) Sprial 16” ~ 102” 406 ~ 2600 * 외경/두께/ 길이다양 * 설비비 저렴 * 고급관 사용 제약 Roll Be..

강관 2023.11.14

철근의 이음 방법

철근의 이음 방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철근의 이음방법에 대해서 설명 드리겠습니다. 철근의 이음 방식으로는 겹침이음, 용접이음, 가스압접, 기계식이음(커플러) 등이 있습니다. 1. 겹침이음 - 철근을 겹쳐 놓고 결속선으로 2개소 이상 묶는 것. D35를 초과하는 철근은 겹침이음을 할 수 없습니다. 2. 용접이음 - 용접 겹침이음 : 철근을 겹쳐 놓고 주로 아크 용접을 합니다. - 용접 맞댐이음 : 철근 끝을 개선 가공하여 용접 합니다. 3. 가스 압접 - 철근 끝을 맞대고 아세틸렌과 산소를 이용한 가스버너로 가열, 압착하는 방법입니다. - 인장강도는 크지만 접합부가 다소 부풀어 혹 모양이 되므로 곡선부의 접합에는 부적합합니다. 4. 슬리브 압착 : 접합부재를 슬리브 속에 넣고 유압잭으로 압착 5. 슬리브 ..

철근 2023.11.14

철강제조 공정

1) 제선(製銑) 소결광(철광석+분광석)+코우크스 → 용광로에 장입하여 열풍을 가하여 철광석을 녹여서 용선(溶銑, Pig Iron)을 만드는 공정 2) 제강(製鋼) 고로에서 생산된 용선과 고철 및 부원료를 전로에 장입한 후 산소를 불어넣어 용선중의 불순물을 제거시키고 필요한 성분을 첨가시켜 목표성분의 용강을 만드는 공정 3) 연주(連鑄) 제강공정에서 생산된 용강을 주형(Mold)에 주입하고 연속적으로 인발하면서 냉각시켜 반제품인 Slab, Bloom, Billet 등을 제조하는 공정 4) 압연(壓蓮) 연주공정에서 생성된 반제품 열연, 후판, 선재 공장으로 이송시켜 재가열 한 후 열간압연기에서 소정의 형상 및 치수를 갖는제품을 말한다. *COREX 공정 별도의 소결공정, Coke 공정을 거치지 않고(환경공..

카테고리 없음 2023.11.09

형강의 종류

안녕하세요? 오늘은 에 대해서 설명 드리겠습니다. 형강(形鋼)의 한자를 보시면 ‘모양 형’을 사용합니다. H모양을 가진 H형강(H-section), ㄱ모양의 ㄱ형강(Angle), ㄷ모양의 ㄷ형강(Channel), I형강(I-section),T형강(T-section)이 있습니다. H형강의 경우 단면의 성능이 우수합니다. 안정적 형태의 모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로 건축,토목 구조물의 보(Beam)나 기둥(Column)으로 사용합니다. ㄱ형강은 앵글이나 ㄴ형강 이라고도 불리며 두 변이 같다면 등변ㄱ형강(Equal Angle), 두 변의 길이가 다르다면 부등변ㄱ형강(Unequal Angle)이라고 부릅니다. 구조용이나 선각의 보강재, 띠장 등으로 많이 쓰입니다. ㄷ형강 찬넬, 잔넬 이라고 불리며 트러스 부..

KS D 3504 철근의 굽힘(구부림)

안녕하세요? 오늘은 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철근의 정착을 위해서는 철근 단부에 갈고리를 만들게 됩니다. 갈고리의 각도는 90°, 135°, 180°가 있습니다. 철근의 경우 KS D 3504에 굽힘성의 각도와 안쪽 반지름을 규정해 놓았습니다. SD300, SD400은 180° 까지 구부려도 되지만, SD500은 135°까지, SD600, SD700, SD600S, SD700S는 90°까지만 구부릴 수 있습니다. 안쪽 반지름의 경우 아래와 같이 공칭지름에 따른 배수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공칭지름 표도 아래에 정리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SD400 D10을 180° 구부리려고 할 때, KS의 기준에 따르면 핀다이아의 반지름을 구할 수 있습니다. 공칭지름인 9.53mm의 2배 즉 1..

철근 2023.11.08

탄소강

1) 순철 (1)순철의 변태 ① A4 변태 :: γ - Fe(FCC) 1400℃ α – Fe(BCC) ② A3 변태 : α – Fe(BCC) 910℃ γ – Fe(FCC) ③ A2 변태 : α – Fe(강자성) 768℃ β – Fe(상자성) 2) 탄소강의 특성 (1) 기계적성질 ① 온도와 기계적 성질 탄소강의 탄성계수, 탄성한계, 항복점을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감소한다. 충격치는 200℃~300℃에서 가장 작아지는 청열취성 발생. ② 결정입도와 강도 Hall-Petch식 항복강도(δ) = 입내전위의 마찰응력(δ1) + { k / (입경)½ } *Grain Size(입경)가 작을수록 강도 증가. ③ 충격치 - 결정립 미세해지면 천이온도 낮아진다. - 탄소량 증가하면 천이온도 올라간다. - 인장강도 증가하면..

카테고리 없음 2023.11.07

건설기준 코드체계 표준화 (2편)

안녕하세요? 이번 편에서는 건설기준코드 개편 세부내용에 대해서 안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대표적으로 설계기준코드(KDS), 표준시방서(KCS) 두 분류로 코드 체계가 개편되었습니다. 두 분류의 코드 안에서 공통편, 시설물편, 사업분야편으로 구분하였습니다. 여기서 공통 공종에 관한 모든 기준은 공통편에서 제시하였고, 시설물편 및 사업편에서는 각 코드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특기사항을 기술하였습니다. 설계기준코드 대분류 중에서 건축구조분야와 관련된 코드는 두 가지입니다. 공통사항의 구조설계기준(KDS 14 00 00), 사업분야편의 건축구조기준(KDS 41 00 00)입니다. 이 두가지 코드의 중분류 세부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과 구독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KS D 3504 고강도철근과 초고강도 철근

안녕하세요? 오늘은 고강도 철근과 초고강도 철근에 대해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KS D 3504 철근 콘크리트용 봉강 기준에는 아래와 같이 일반용, 용접용, 특수내진용으로 종류를 구분하고 표시방법도 명기해 놓았습니다. SD의 뜻은 Steel Deformed bar의 줄임말, 용접용 W는 Weldable의 줄임말, 특수내진용의 S는 Seismic의 줄임말 표기입니다. KS 기준에는 고강도철근, 초고강도 철근이라는 기준은 없지만 통상적으로 고강도철근은 SD500, 초고강도철근은 SD600으로 부르고 있습니다. 2007년에 처음으로 SD600, SD700이 KS 기준에 삽입이 되었습니다. 2007년 이전에는 일반철근을 SD400, 고강도철근을 SD500 위주로 시공되었지만, SD600이 생겨나면서 제강사에서는 ..

철근 2023.11.02

건설기준 코드체계 표준화

안녕하세요? 오늘은 건설기준 코드체계 표준화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건설기준 코드체계 표준화는 각각 분야별로 운영되던 기준들을 통폐합하여 기준간 중복·상충 부분을 정비하고, 개정이 용이하도록 코드화를 추진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코드 단위별 상시개정 및 적기 반영이 가능해졌습니다. 대표적으로 설계기준코드, 표준시방서 두 분류로 코드 통폐합을 진행하였습니다. - 설계기준 21종 → 설계기준 KDS (Korean Design Standard) - 표준시방서 21종 → 표준시방서 KCS (Korean Construction Specification) 두 분류의 코드 안에서 공통편, 시설물편, 사업분야편으로 구분하였습니다. 다음으로 건설기준 코드체계 표기 기준은 아래와 같이 변경되었습니다. 이러한 건설기준코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