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3/11 19

스릿팅(Slitting)과 Skelp width(절단폭) 구하기

안녕하세요~ 오늘 부터는 ERW 조관방법과 기술에 관해서 서술해 보고자 합니다 전기저항 ERW (Electric Resistance Welding) 용접강관의 제조공정은 스릿팅(Slitting) →언코일링(Uncoiling) → 성형(Forming) → 용접(Welding) → 용접부열처리(Seam Annealling) → 정형(Sizing) → 절단(Cutting) → 후처리(교정, 면취, 수압, 비파괴검사, 육안검사, 마킹, 도유, 포장)로 배열되어 있습니다. 1. 스릿팅(Slitting) MILL MAKER(포스코나 현대제철 또는 수입산)에서 구입된 원대강(HOT COIL)을 대구경(14", 355.6mm 이상)은 스릿팅 하지않고 그대로 조관기에 투입하여 양단면(Edge)을 Trimming 또는 M..

강관 2023.11.29

H형강 가격표 (엑스트라)

안녕하십니까. 오늘은 H형강의 단가표를 설명 드리겠습니다. H형강에서 이야기하는 BASE 단가는 “SS275 소형”입니다. SS275 소형 규격을 기준으로 아래와 같이 엑스트라 금액을 더하시면 톤당 단가를 구하실 수 있습니다. 1. 소형, 대형, 특대형 엑스트라 아래 표를 보시면 구분 1에 소형, 대형, 특대형을 구분하였습니다. 400x400, 700x300, 800x300, 900x300 시리즈는 대형 H형강입니다. 대형 규격은 BASE(소형) +150원/kg 특대형 H형강은 2개입니다. 400x400 시리즈 중에서 t2 두께가 50mm 넘는 것이 딱 2개가 있습니다. 458x417x30x50, 498x432x45x70만 특대형 규격입니다. 특대형 규격은 BASE(소형) +220원/kg 시황에 따라 엑..

무계목강관(Seamless 강관), 강관의 제법별 구경/두께범위

오늘은 무계목강관과 강관의 제조방법별로 구경과 두께 범위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1. 무계목강관(SMLS 강관, Seamless 강관) 무계목강관은 강관의 분류1 (10월4일자)에 소개한 대로 용접부가 없이 제조된 강관으로 빌릿등의 소재를 가열하여 천공기로 중심에 구멍을 뚫고 중공소재로 만든뒤 Mill로 압연하거나 인발기등으로 인발하여 소정의 외경과 두께로 만든 강관을 말하며, 소재에 구멍을 뚫은 다음 연신하는 경사압연 방식과 이미 천공된 소재를 프레스로 압축하는 프레스방식이 있습니다. 아래그림에 소개하는 공정은 소구경 생산에 적용되는 메드렐 방식으로 원형빌렛(Round Billet)을 원형 로터리 열처리 로(열간가공을 하기 위하여 재결정온도 이상으로 가열)에 투입한 한 후에 Piercing 공정에서 원..

강관 2023.11.24

철근 가격표(엑스트라 표)

철근 엑스트라 안녕하세요. 오늘은 철근 엑스트라 단가에 대해서 설명 드리겠습니다. KS D 3504 철근콘크리트용 봉강은 일반철근, 용접용철근, 내진용철근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우선 일반철근 입니다. 철근이 갖춰야할 최소한의 강도와 유연함 등을 발휘합니다. 종류는 SD300, SD400, SD500, SD600, SD700까지 있습니다. 여기서 SD의 뜻은 Steel Deformed bar의 줄임말입니다. 다음은 용접용 철근입니다. 철근끼리 또는 강판등과 용접을 하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때 용접된 부분이 잘 붙어있도록 철근의 소재 차원에서도 성능을 발휘하는 제품입니다. 용접의 영어표현인 Weldable의 W를 뒤에 붙여 표현합니다. SD400W, SD500W가 있습니다. 다음은 내진용 철근입니..

철근 2023.11.23

롤벤딩 강관, UOE 강관, JCO강관

안녕하세요 오늘은 후육관 제법으로 생산되는 R/B 강관, UOE강관, JCO 강관 제법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1. 롤벤딩(Roll Bending) 강관 롤벤딩 제법은 판재를 3개의 롤(Roll)을 사용하여 원형강관을 만드는 방법이다. 제일 먼저 용접성을 좋게 하기위하여 판재의 양쪽 끝면을 cutting 작업과 에지 Pre Bending 작업을 하며, 미리 양 끝면을 약간 구부려 준 다음, 그 후 3개의 롤을 사용하여 벤딩 직업으로 원형으로 성형한 후 Tack Welding(가접)을 한후에 내면, 외면 잠호용접 SAW (Submarged Arc Welding) 후 양끝면을 면취작업 후, 용접부 비파괴검사 (Ultrssonic Test, 또는 X-ray 검사등)를 하여 용접부 건전성을 확보한 후에 외관검사를 ..

강관 2023.11.22

CFT 구조(Concrete Filled steel Tube)

CFT 구조 (Concrete Filled steel Tube) 안녕하세요. 오늘은 CFT 구조에 대해서 설명 드리겠습니다. CFT 구조는 Concrete Filled steel Tube의 약자입니다. 말 그대로 강관 또는 각관 내부에 콘크리트를 부어 주로 기둥 부재로 사용하는 구조를 말합니다. CFT조로 기둥을 제작하게 되면 RC조와 S조의 장점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습니다. 강관이 내부의 콘크리트를 구속하고 있기 때문에 강성, 내력, 변형성능, 내화, 시공 등의 측면에서 우수한 특성을 발휘합니다. 폐단면 부재로써 휨모멘트를 부담하는 강관이 외축에 있고, 축력을 부담하는 콘크리트가 내측에 있어 강관이 내부 콘크리트를 구속하는 한편 콘크리트가 강관의 국부좌굴을 막아주는 효과로 인하여 강도와 에너지 흡수능..

강관 2023.11.22

후판 厚板 Thick plate

안녕하세요. 오늘은 후판에 대해서 설명 드리겠습니다. 후판 이란 두께 6mm 이상의 두꺼운 철판을 말합니다. 후판의 한자를 보시면 厚(두터울 후) 板(널빤지 판)으로 이름 그대로 두꺼운 철판입니다. 두께가 얇을 경우(6mm 이하) 박판(열연코일, 냉연코일)이라 부릅니다. 후판은 두께 6 ~ 100mm 까지, 폭은 1,000 ~ 4,800mm, 길이는 3,000 ~ 25,000mm 까지 생산 할 수 있습니다. 가장 많이 사용 되는 두께는 10~ 40mm, 폭 2,438mm, 길이 6,096mm입니다. 용도별로 조선용 후판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강종으로는 A,B,D,AH,DH,EH 등이 있습니다. 그 다음으로 많이 사용되는 용도는 구조용을 SS, SM, SN 강종이 사용됩니다. 물론 압력용용이나 강관용으로도..

ERW 대구경 제조공정 및 스파이럴(Spiral)제조공정

1. ERW 대구경 제조공정 * 중소구경 제조공정과 비슷하나 스릿팅 공정이 없이 바로 원재료인 Hot Coil을 투입하여 Edge Milling에 의하여 코일 에지면을 깍으면서 투입된다. 고품질요구시 코일 양 끝부위를 비파괴 검사를 행하며 성형과 용접과 내외부 비드를 제거하여 정형에 이르고 그이후 공정은 중소경과 같으나 용접부 UT(Ultrasonic Test), 또는 모재부 전체(Full Body) UT 를 하는 경우도 있다 대부분 구경이 커서 14" 이상에서는 낱본으로 출하된다. 2. 스파이럴(Spiral) 제조공정 * 원재료 Hot Coil 을 그대로 투입하여 Edge Trimmer로 양끝을 깍아주며 성형이 나선형으로 되면서 원형으로 말아지면서 잠호용접(Submarged Welding)으로 내외면을..

강관 2023.11.16

KS B 0810 샤르피 충격시험(Charpy impact test)

안녕하세요. 오늘은 샤르피 충격시험에 대해서 설명 드리겠습니다. 샤르피 충격시험이란 노치를 가진 시험편을 일정한 높이에서 해머로 타격해 파단시키고, 그때의 흡수에너지를 구하는 방법입니다. KS B 0810 금속 재료 충격 시험 방법에 규정되어 있는 시험입니다. 1976년에 발행된 국제 표준 ISO 83 Steel-Charpy test(U-notch)와 1983년 발행된 ISO148 Steel-Charpy test(V-notch)를 그대로 가져와서 작성하였습니다. 시험편의 노치(notch)는 V-노치와 U-노치가 있는데 건설용에서 가장 많이쓰이는 SHN, SN 같은 강종의 경우 V노치 샤르피 테스트를 시험편으로 사용합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V노치 시험편을 만들어서 시험대 위에 올려놓고 일정한 높이에서 해..

KS D 3504 나사형 철근(Thread bar)

안녕하세요. 오늘은 나사형 철근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KS D 3504 : 2021 철근콘크리트용 봉강에서 6.1 모양을 보시면 아래와 같이 정리 되어있습니다. 1. 철근은 표면에 돌기가 있어야 하며 축선방향의 돌기를 종방향 리브라 하고, 축선방향 이외의 돌기를 횡방향 리브(마디)라 한다. 2. 철근을 가공 없이 기계식 이음을 하기 위한 종방향 리브가 없는 나사 모양의 철근은 아래 그림과 같다. 즉, 나사형 철근이란 종방향 리브가 없고, 마디가 나사와 같이 나선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철근입니다. 강종/규격/중량은 기존 철근과 동일합니다. SD400, SD500, SD600 D19 ~ D51 까지 생산 가능 합니다. 나사형 철근을 만든 이유는 철근 가공 없이 기계식 이음을 하기 위해서입니다. 본래 철..

철근 2023.11.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