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3/10 18

철강재료의 시험

철강재료의 시험 1) 금속재료의 현미경 시험 ① 시편의 채취 – 보고싶은 부근에서 채취 (시편채취시 열이 가해져 조직 변화가 있어서는 안됨) ② 시편의 연마 – 거울처럼 매끄럽게 연마 ③ 시편의 부식 – 부식재 사용 표면을 부식시키면 결정경계면을 부식시켜 조직의 형태를 볼 수 있다. ④ 현미경 종류 – 광학현미경 : 10배 ~ 500배 주사전자 현미경(SEM) : 10만배 * 페라이트(Ferrite) : 철이 가질 수 있는 여러 구조 가운데 체심입방구조 (body centered cubic, bcc)를 갖는 종류의 철(α-Fe) * 펄라이트(Pearlite) : 페라이트와 시멘타이트가 층을 이루는 조직 * 시멘타이트(Cementite) : 철과 탄소가 결합한 탄화물(Fe₃C) 페라이트 - 펄라이트 시멘타..

카테고리 없음 2023.10.31

<강종비교> SM355A VS SHN355

안녕하세요? 오늘은 와 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가장 많이 사용하시는 355급으로 비교하였습니다. SM은 용접구조용, SHN은 건축구조용으로 이름 자체가 차이가 있습니다. 가지고 있는 능력도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SHN이 왜 건축구조전용인지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1. 화학성분 철의 5대 합금원소는 탄소, 규소, 망간, 인, 황입니다. KS에서는 합금원소를 관리하고 있고 관리치에 미치지 못하면 KS 인증을 받을 수 없습니다. SM355A의 화학성분 표를 보시면 5대 합금원소만 관리됨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SHN355의 화학성분을 보시면 SHN 강재는 5대원소인 탄소(C), 규소(Si), 망간(Mn), 인(P), 황(S) 뿐만 아니라 구리(Cu), 니켈(Ni), 크롬(Cr), 몰리브덴(Mo) 까지..

JIS G 3136 건축 구조용 압연 강재 SN

안녕하세요? 오늘은 에 대해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JIS G 3136 SN 강종은 건축 구조 전용 강종입니다. Steel New의 줄임말입니다. KS에서는 SN(열연,후판), SHN(형강)으로 구분되어 있지만, 일본의 건축구조용 압연 강재는 SN으로 통일하여 열연, 후판, 형강으로 생산 가능 합니다. 역시 구KS SN강종과 똑같은 스펙을 보유한 일본의 SN입니다. 1. 호칭기호 SN400A/B/C와 SN490B/C로 총 5개의 강종기호가 있습니다. SN490B를 기준으로 490은 인장강도 표기, A/B/C는 용도에 따른 표기입니다. A는 일반구조용으로 용접성능이나 샤르피의 관리 기준이 없습니다. B는 건축구조용으로 용접성과 샤르피를 관리 하고 있습니다. C는 S(황)을 관리 0.008이하로 관리합니다. ..

해외규격 2023.10.27

철강재료 일반

안녕하세요~ 오늘부터 철강재료 일반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1.철의 역사 1) 철강 연표 본격적인 용광로개발 스테인레스강 개발 소아시아 철기시대도래 철기시대 발달 (생산량 증대) (1909) BC 4000 BC 8세기 BC 1세기말 14C말 1700 1900 19C후반이후 BC 3000 BC 3~4세기 500 메소포타미아 한반도 일본에 세계최초 철교가설 POSCO 착공 이집트 철기문화 유입 철기문화 전파 (1779, 영국) (1970) ① BC 4000년경 – 인류가 처음으로 철 사용 ② 메소포타미아, 이집트까지 철의 정련기술 확대 (BC 3000) ③ 중국에 본격적인 철기시대도래 (BC 4세기초) ④ 증기기관에 철제 실린더 사용 (1720) 2) 철문화의 기원 (1) 철의 발견(설) ① 채광착오설 – ..

카테고리 없음 2023.10.25

<KS개정> KS D 3861 건축 구조용 압연 강재 SN

안녕하세요? 오늘은 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KS D 3861 SN 강종은 건축 구조 전용 강종입니다. Steel New의 줄임말입니다. 이렇게 강종명에 New가 들어가 있는 강종들(SHN, SNT, SNRT)은 전부 건축구조용으로 탄소당량이나 샤르피, 항복강도 상하한치 규정 등 건축 구조에 필요한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후판이나 열연으로 만들어 사용합니다. 형강은 없습니다. SS,SM 강종은 후판, 열연, 형강 다 만들 수 있는데 건축구조용만 SN(열연,후판), SHN(형강)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2016년에 KS가 크게 바뀌게 되는데 ‘16년에 12월에 개정 고시를 내고 18년 1월 1일 부로 전면 시행 되었습니다. 개정 전 후로 어떤 것이 바뀌었는지 자세히 설명 드리겠습니다. 왼쪽 표가 구버..

KS개정 2023.10.25

<해외규격> JIS G 3106 용접 구조용 압연 강재 SM

안녕하세요? 오늘은 JIS G 3106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JIS G 3106 SM 강종은 H형강, 일반형강, 후판등 다양하게 많이 쓰이는 용접용 강재입니다. KS D 3515 SM 강종과 동일한 강종명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17년도 KS가 개정되기 전의 구버전 KS와 완전히 똑같은 스펙을 가지고 있습니다. 1. 호칭기호 가장 많이 쓰이는 SM490A 강종의 표기는 Steel Marine의 줄임말인 SM, 490은 인장강도 표기, A는 샤르피 흡수에너지에 따른 A,B,C 등급 구분입니다. SM490YA, SM490YB의 구분은 항복강도(Yield strength)의 Y를 붙여서 항복강도를 상향시킨 강종입니다. 아래 표와 같이 인장강도와 샤르피 구분에 따른 11종의 강종 기호가 있습니다. 2...

해외규격 2023.10.24

강관의 역사3

안녕하세요 오늘은 전 편에 이어 계속해서 강관의 역사 마무리를 지어보겠습니다. 1951년 미국의 요다(Yoder)사가 고주파 유도 용접법은 창안하였고, 써머툴(Thermatool)사가 고주파 저항용접법을 창안하여 특허를 획득하였다. 요다(Yoder)社의 유도용접은 파이프와 동심원의 Work Coil을 비접촉 상태로 용접점 앞에 설치한 뒤 고주파 전류를 공급, 용접열을 발생시키면 양 엣지에 '가열 전류가 유도'되어 용접하는 것이다. 반면 '써머툴법'은 2개의 소접촉자(Contact Tip)를 양엣지부에 설치, 300~500 KHz의 '고주파 전류' 를 직접 공급하여 용접열을 발생시키는 방식 이다. 당시는 비접촉시에는 유도방식만이 용접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고 믿었던 시기였는데, 써머툴법의 경우 2㎜~6㎜ ..

강관 2023.10.19

<해외규격> JIS G 3101 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 SS

안녕하세요? 오늘은 JIS G 3101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JIS G 3101는 국내 KS D 3503 SS 강종의 구버전과 똑같습니다. 형강이나 판재류 모두 생산이 가능하며 SS400, SS490, SS540 등 구버전 KS처럼 인장강도 기준 표기법으로 표현 합니다. 가장 기본이 되는 일반 강재입니다. 이름 자체가 Steel Structure의 줄임말로 '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 입니다. 1. 호칭기호 SS330, SS400, SS490. SS540의 표기법은 Steel Structure의 줄임말인 SS, 뒤에 숫자는 인장강도 하한값을 표현합니다. 2. 화학성분 철의 5대 합금원소는 아래와 같이 탄소, 규소, 망간, 인, 황입니다. 5대 합금원소를 관리하고 있고 관리치에 미치지 못하면 인증을 받을 ..

해외규격 2023.10.19

건축물의 구성

안녕하세요? 오늘은 건축물의 구성에 대해 이야기해보려합니다. 건축물에서 구체(main frame) 또는 주체구조라 함은 수장, 창호, 설비 등을 제외한 주요부를 말합니다. 건축물의 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수장, 창호 등은 일반구조 또는 각부구조라 합니다. 1. 기초 (foundation, footing) : 건축물에서 각층의 하중을 지반에 전달하여 지반반력에 의해 안전 하게 지지하도록 설치된 지정을 포함한 하부 구조체입니다. 2. 기둥(column) : 지붕부터 상부층의 바닥판 하중을 받아 하부로 전달하는 수직재 입니다. 3. 벽체(wall) : 수직으로 공간을 차단시킨 구조로 건축물의 외부에 설치된 벽을 외벽, 내측을 내벽 이라 하고, 칸막이벽으로 설치된 것을 장막벽(비내력벽), 상부 하중을 받아 견딜 ..

건축구조의 분류

안녕하세요? 오늘은 건축구조의 분류 주제로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 구조체의 재료에 의한 분류 는 크게 나무, 벽돌, 돌, 철근콘크리트, 철골, 철골철근콘크리트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나무구조(목구조) 건축물의 뼈대를 목조로 접합 연결한 것으로서 정착물을 보강하여 구성한 구조입니다. 가구식 구조로 시공됩니다. 구조방법이 간단하고 시공이 용이하고 공사기간이 짧고, 외관이 아릅답습니다. 반면에 내구력이 부족하고 화재의 위험이 있습니다. 2. 벽돌구조 바깥벽을 벽돌로 쌓고 구조상 또는 장식상으로 석재를 혼용한 구조입니다. 내구성이나 내화성이 좋지만 지진 및 횡력에 약합니다. 3. 철근콘크리트구조 철근을 짜고 콘크리트를 부어 일체식으로 구성한 구조입니다. 내구성, 내화성, 내진성 모두 우수합니다. 다만 자중..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