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92

건설기준 코드체계 표준화 (2편)

안녕하세요? 이번 편에서는 건설기준코드 개편 세부내용에 대해서 안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대표적으로 설계기준코드(KDS), 표준시방서(KCS) 두 분류로 코드 체계가 개편되었습니다. 두 분류의 코드 안에서 공통편, 시설물편, 사업분야편으로 구분하였습니다. 여기서 공통 공종에 관한 모든 기준은 공통편에서 제시하였고, 시설물편 및 사업편에서는 각 코드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특기사항을 기술하였습니다. 설계기준코드 대분류 중에서 건축구조분야와 관련된 코드는 두 가지입니다. 공통사항의 구조설계기준(KDS 14 00 00), 사업분야편의 건축구조기준(KDS 41 00 00)입니다. 이 두가지 코드의 중분류 세부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과 구독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KS D 3504 고강도철근과 초고강도 철근

안녕하세요? 오늘은 고강도 철근과 초고강도 철근에 대해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KS D 3504 철근 콘크리트용 봉강 기준에는 아래와 같이 일반용, 용접용, 특수내진용으로 종류를 구분하고 표시방법도 명기해 놓았습니다. SD의 뜻은 Steel Deformed bar의 줄임말, 용접용 W는 Weldable의 줄임말, 특수내진용의 S는 Seismic의 줄임말 표기입니다. KS 기준에는 고강도철근, 초고강도 철근이라는 기준은 없지만 통상적으로 고강도철근은 SD500, 초고강도철근은 SD600으로 부르고 있습니다. 2007년에 처음으로 SD600, SD700이 KS 기준에 삽입이 되었습니다. 2007년 이전에는 일반철근을 SD400, 고강도철근을 SD500 위주로 시공되었지만, SD600이 생겨나면서 제강사에서는 ..

철근 2023.11.02

건설기준 코드체계 표준화

안녕하세요? 오늘은 건설기준 코드체계 표준화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건설기준 코드체계 표준화는 각각 분야별로 운영되던 기준들을 통폐합하여 기준간 중복·상충 부분을 정비하고, 개정이 용이하도록 코드화를 추진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코드 단위별 상시개정 및 적기 반영이 가능해졌습니다. 대표적으로 설계기준코드, 표준시방서 두 분류로 코드 통폐합을 진행하였습니다. - 설계기준 21종 → 설계기준 KDS (Korean Design Standard) - 표준시방서 21종 → 표준시방서 KCS (Korean Construction Specification) 두 분류의 코드 안에서 공통편, 시설물편, 사업분야편으로 구분하였습니다. 다음으로 건설기준 코드체계 표기 기준은 아래와 같이 변경되었습니다. 이러한 건설기준코드..

철강재료의 시험

철강재료의 시험 1) 금속재료의 현미경 시험 ① 시편의 채취 – 보고싶은 부근에서 채취 (시편채취시 열이 가해져 조직 변화가 있어서는 안됨) ② 시편의 연마 – 거울처럼 매끄럽게 연마 ③ 시편의 부식 – 부식재 사용 표면을 부식시키면 결정경계면을 부식시켜 조직의 형태를 볼 수 있다. ④ 현미경 종류 – 광학현미경 : 10배 ~ 500배 주사전자 현미경(SEM) : 10만배 * 페라이트(Ferrite) : 철이 가질 수 있는 여러 구조 가운데 체심입방구조 (body centered cubic, bcc)를 갖는 종류의 철(α-Fe) * 펄라이트(Pearlite) : 페라이트와 시멘타이트가 층을 이루는 조직 * 시멘타이트(Cementite) : 철과 탄소가 결합한 탄화물(Fe₃C) 페라이트 - 펄라이트 시멘타..

카테고리 없음 2023.10.31

<강종비교> SM355A VS SHN355

안녕하세요? 오늘은 와 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가장 많이 사용하시는 355급으로 비교하였습니다. SM은 용접구조용, SHN은 건축구조용으로 이름 자체가 차이가 있습니다. 가지고 있는 능력도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SHN이 왜 건축구조전용인지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1. 화학성분 철의 5대 합금원소는 탄소, 규소, 망간, 인, 황입니다. KS에서는 합금원소를 관리하고 있고 관리치에 미치지 못하면 KS 인증을 받을 수 없습니다. SM355A의 화학성분 표를 보시면 5대 합금원소만 관리됨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SHN355의 화학성분을 보시면 SHN 강재는 5대원소인 탄소(C), 규소(Si), 망간(Mn), 인(P), 황(S) 뿐만 아니라 구리(Cu), 니켈(Ni), 크롬(Cr), 몰리브덴(Mo) 까지..

JIS G 3136 건축 구조용 압연 강재 SN

안녕하세요? 오늘은 에 대해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JIS G 3136 SN 강종은 건축 구조 전용 강종입니다. Steel New의 줄임말입니다. KS에서는 SN(열연,후판), SHN(형강)으로 구분되어 있지만, 일본의 건축구조용 압연 강재는 SN으로 통일하여 열연, 후판, 형강으로 생산 가능 합니다. 역시 구KS SN강종과 똑같은 스펙을 보유한 일본의 SN입니다. 1. 호칭기호 SN400A/B/C와 SN490B/C로 총 5개의 강종기호가 있습니다. SN490B를 기준으로 490은 인장강도 표기, A/B/C는 용도에 따른 표기입니다. A는 일반구조용으로 용접성능이나 샤르피의 관리 기준이 없습니다. B는 건축구조용으로 용접성과 샤르피를 관리 하고 있습니다. C는 S(황)을 관리 0.008이하로 관리합니다. ..

해외규격 2023.10.27

철강재료 일반

안녕하세요~ 오늘부터 철강재료 일반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1.철의 역사 1) 철강 연표 본격적인 용광로개발 스테인레스강 개발 소아시아 철기시대도래 철기시대 발달 (생산량 증대) (1909) BC 4000 BC 8세기 BC 1세기말 14C말 1700 1900 19C후반이후 BC 3000 BC 3~4세기 500 메소포타미아 한반도 일본에 세계최초 철교가설 POSCO 착공 이집트 철기문화 유입 철기문화 전파 (1779, 영국) (1970) ① BC 4000년경 – 인류가 처음으로 철 사용 ② 메소포타미아, 이집트까지 철의 정련기술 확대 (BC 3000) ③ 중국에 본격적인 철기시대도래 (BC 4세기초) ④ 증기기관에 철제 실린더 사용 (1720) 2) 철문화의 기원 (1) 철의 발견(설) ① 채광착오설 – ..

카테고리 없음 2023.10.25

<KS개정> KS D 3861 건축 구조용 압연 강재 SN

안녕하세요? 오늘은 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KS D 3861 SN 강종은 건축 구조 전용 강종입니다. Steel New의 줄임말입니다. 이렇게 강종명에 New가 들어가 있는 강종들(SHN, SNT, SNRT)은 전부 건축구조용으로 탄소당량이나 샤르피, 항복강도 상하한치 규정 등 건축 구조에 필요한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후판이나 열연으로 만들어 사용합니다. 형강은 없습니다. SS,SM 강종은 후판, 열연, 형강 다 만들 수 있는데 건축구조용만 SN(열연,후판), SHN(형강)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2016년에 KS가 크게 바뀌게 되는데 ‘16년에 12월에 개정 고시를 내고 18년 1월 1일 부로 전면 시행 되었습니다. 개정 전 후로 어떤 것이 바뀌었는지 자세히 설명 드리겠습니다. 왼쪽 표가 구버..

KS개정 2023.10.25

<해외규격> JIS G 3106 용접 구조용 압연 강재 SM

안녕하세요? 오늘은 JIS G 3106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JIS G 3106 SM 강종은 H형강, 일반형강, 후판등 다양하게 많이 쓰이는 용접용 강재입니다. KS D 3515 SM 강종과 동일한 강종명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17년도 KS가 개정되기 전의 구버전 KS와 완전히 똑같은 스펙을 가지고 있습니다. 1. 호칭기호 가장 많이 쓰이는 SM490A 강종의 표기는 Steel Marine의 줄임말인 SM, 490은 인장강도 표기, A는 샤르피 흡수에너지에 따른 A,B,C 등급 구분입니다. SM490YA, SM490YB의 구분은 항복강도(Yield strength)의 Y를 붙여서 항복강도를 상향시킨 강종입니다. 아래 표와 같이 인장강도와 샤르피 구분에 따른 11종의 강종 기호가 있습니다. 2...

해외규격 2023.10.24

강관의 역사3

안녕하세요 오늘은 전 편에 이어 계속해서 강관의 역사 마무리를 지어보겠습니다. 1951년 미국의 요다(Yoder)사가 고주파 유도 용접법은 창안하였고, 써머툴(Thermatool)사가 고주파 저항용접법을 창안하여 특허를 획득하였다. 요다(Yoder)社의 유도용접은 파이프와 동심원의 Work Coil을 비접촉 상태로 용접점 앞에 설치한 뒤 고주파 전류를 공급, 용접열을 발생시키면 양 엣지에 '가열 전류가 유도'되어 용접하는 것이다. 반면 '써머툴법'은 2개의 소접촉자(Contact Tip)를 양엣지부에 설치, 300~500 KHz의 '고주파 전류' 를 직접 공급하여 용접열을 발생시키는 방식 이다. 당시는 비접촉시에는 유도방식만이 용접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고 믿었던 시기였는데, 써머툴법의 경우 2㎜~6㎜ ..

강관 2023.10.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