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4/02 4

KS C8401 강제 전선관 (후강 전선관)

안녕하세요~오늘은 아파트 건설현장에서 많이 사용되는 강제전선관((Rigid Steel Conduits),KS C8401 (JIS C8305) 중에서 후강전선관에 대하여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1. 적용범위   이 규격은 전기배선에서 전선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강제전선관에 대하여 규정한다. 2. 종류   관의 종류는 후강 전선관, 박강전선관 및 나사없는 전선관의 3종류로 한다. 3. 제조방법   1) 관은 이음매를 완전히 용접하고, 관축에 평행하는 이음매 이외의 이음자리가 없도록 한다.   2) 관의 양끝은 관축에 대하여 직각으로 절단하고, 리밍(Reaming)을 한다.   3) 관의 양끝에는 KS B 0223(전선관나사)에 규정한 나사가공을 하여, 그 한쪽 끝에는        재료규격, 전선관용 커플링..

강관 2024.02.29

KS D3568 일반구조용 각형강관 (SRT275/550)

안녕하세요~일전(2023 08 31)에 일반구조용 각형강관에서 다루웠던 내용인데덧붙여서 말씀드릴까 합니다~ 1. 적용 범위    이 규격은 토목, 건축 및 기타 구조물에 사용하는 각형강관에 대하여 규정한다. 2. 종류 및 기호  관의 종류는 5종류로 하고(2018 01 01개정), 종전기호와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일본공업규격 JIS G3466 STKR 과 비교됨)기   호종전 기호SRT 275SPSR 400SRT 355SPSR 490SRT 410SPSR 540SRT 450SPSR 590SRT 550- 3. 제조방법   1) 관은 고주파 전기저항 용접에 의하여 제조한다.   2) 관은 제조한 그대로 사용하고, 원칙적으로 열처리를 하지 않는다  4. 기계적 성질종류의 기호항복강도인장강도연신율(5호 시험..

강관 2024.02.19

KS D3566 일반구조용 탄소강관 (SGT275/550)

안녕하세요~ 설명절 순삭으로 지나갔네요~ 오늘은 일전에 에서 일부 다루웠던 내용인데요 추가해서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적용범위 이 규격은 토목, 건축, 철탑, 발판, 지주, 지면 미끄럼 방지 말뚝, 그 밖의 구조물에 사용하는 탄소 강관에 대하여 규정한다. 2. 종류 및 기호 기존 STK 였던 강종의 표기가 SGT로 변경개정(2018 01 01) 되었습니다. 참조로 일본 규격은 일반구조용 탄소강관(JIS G3444, STK290~690) )입니다. STK 기호의 뜻이 일본어 Steel Tube Kujo: 구조(こうぞう) 에서 왔기 때문에 Steel General structural Tube > SGT 로 바꾸었습니다. 뒤에 붙은 수치도 인장강도(400MPa)에서 항복강도(275MPa) 표기로 바뀝니..

강관 2024.02.13

강재의 용접방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용접 방법에는 몇 가지가 있는데 - 피복아크용접(SMAW) - 가스메탈아크용접(GMAW) - 플럭스코어드아크용접(FCAW) - 서브머지드아크용접(SAW) - 일랙트로가스용접(EGW) 순으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 피복아크용접(SMAW) 일단 가장 많이 사용되는 용접법으로는 피복아크용접(SMAW)이 있습니다. Shielded Metal Arc Welding의 줄임말로 피복제를 바른 용접봉과 모재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의 열(5,000~6,000℃)을 이용하여 모재의 일부와 용접봉을 녹여서 용접하는 방법입니다. 구조용 강을 비롯해 거의 모든 금속재료의 용접에 사용됩니다. 이 때, 사용되는 피복제는 중성 또는 환원성 가스를 발생하여 아크를 대기로 부터 차단시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