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관

KS D3568 일반구조용 각형강관 (SRT275/550)

주연스틸 2024. 2. 19. 17:18
반응형

안녕하세요~

일전(2023 08 31)에 <KS 개정> 일반구조용 각형강관에서 다루웠던 내용인데

덧붙여서 말씀드릴까 합니다~

 

1. 적용 범위

    이 규격은 토목, 건축 및 기타 구조물에 사용하는 각형강관에 대하여 규정한다.

 

2. 종류 및 기호

  관의 종류는 5종류로 하고(2018 01 01개정), 종전기호와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일본공업규격 JIS G3466 STKR 과 비교됨)

기   호 종전 기호
SRT 275 SPSR 400
SRT 355 SPSR 490
SRT 410 SPSR 540
SRT 450 SPSR 590
SRT 550 -

 

3. 제조방법

   1) 관은 고주파 전기저항 용접에 의하여 제조한다.

   2) 관은 제조한 그대로 사용하고, 원칙적으로 열처리를 하지 않는다

 

 4. 기계적 성질

종류의 기호 항복강도 인장강도 연신율(5호 시험편)
 N/㎟ N/㎟ %
SRT 275 275 이상 410 이상 23 이상
SRT 355 355 이상 500 이상 23 이상
SRT 410 410 이상 540 이상 20 이상
SRT 450 450 이상 590 이상 20 이상
SRT 550 550 이상 690 이상 20 이상

 

5. 치수, 무게 및 치수의 허용차

   1) 관의 변길이, 각 변의 평판 부분의 요철, 인접 평판 부분 사이의 각도, 각 부의 치수, 길이, 휨 및

      두께의 허용차는 아래표에 따른다.

항목 및 치수의 구분 치수 및 각도의 허용차
 변의 길의 100mm 이하 ±1.5 mm
100mm 초과 ±1.5%
각변의 평판 부분의 요철 변길이 100mm 이하 0.5 mm 이하
변길이 100mm 초과 변길이의 0.5% 이하
인접 평판 부분 사이의 각도 ±1.5º
각부의 치수 : S 3t 이하
길이 +제한없음,  - 0
전체 길이의 0.3% 이하
두  께 3mm 미만 ±0.3mm
3mm 이상 ±10%

* 각부의 치수 S 는 t (두께)의 3배보다 적어야 한다 

* 요철(凹凸)은 각형강관에 있어서 중요한 품질 중에 하나로 변길이 100mm 이하일 경우 

  보통 + 요철은 허용하지 않으며 -0.5mm 정도 허용한다.

   → 요철이 (+) 가 되면 변의 배가 나왓다고 하는데, 각형강관의 변 끼리 서로 맞물렸을 경우

       사용상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주의해야 한다.

* 각관의 휨은 '트위스트' 라고도 한다.  ERW(전기저항용접)로 조관시 성형에서

   원형으로 용접후 정형(Sizing)에서 각형으로 만들어 주는데 여기서 한쪽 방향으로

   힘을 받는 경우 휨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정형롤이 4 Roll Type 보다 2 Roll Type일때 휨불량 발생 확률이 높아진다.

 

   2) 치수 및 무게

변의 길이 두   께 무   게 변의 길이 두   께 무   게 변의 길이 두   께 무   게
A × B t A × B t A × B t
kg/m kg/m kg/m
20×20 1.2 0.697  75×75 3.2 7.01  200×200 4.5 27.2
20×20 1.6 0.872 75×75 4.5 9.55 200×200 6.0 35.8
25×25 1.2 0.867 80×80 2.3 5.5 200×200  8.0 46.9
25×26 1.6 1.12 80×80 3.2 7.51 200×200 9.0 52.3
30×30 1.2 1.06 90×90 2.3 6.23 200×200 12.0 67.9
30×30 1.6 1.38 90×90 3.2 8.51  250×250 5.0 38
40×40 1.6 1.88 100×100 2.3 6.95 250×250 6.0 45.2
40×40 2.3 2.62 100×100 3.2 9.52 250×250  8.0 59.5
50×50 1.6 2.38 100×100 4.0 11.7 250×250 9.0 66.5
50×50 2.3 3.34 100×100 4.5 13.1 250×250 12.0 86.8
50×50 3.2 4.50 125×125 3.2 12.1  300×300 4.5 41.3
60×60 1.6 2.88 125×125 4.5 16.6 300×300 6.0 54.7
60×60 2.3 4.06 125×125 5.0 18.3 300×300  9.0 80.6
60×60 3.2 3.5 150×150 4.5 20.1 300×300 12.0 106
75×75 1.6 3.64 150×150 5.0 22.3 350×350 9.0 94.7
75×75 2.3 5.14 150×150 6.0 26.4 350×350 12.0 124

 

 

 

 

 

 

 

 

* 각형강관의 무게산정 방식은 

  W = 0.0157 t (A+B - 3.287t)  으로 계산됩니다.

여기에서, W : 관의 무게 kg/m,  t : 관의 두께 mm,  A, B : 관의 변의 길이 mm

 

6. 각형강관 작은 사이즈에서 번들링 수량(A 업체의 예)

외경 본수/번들 외경 본수/번들
10×10 500 12.3×25.4 500
10×15 500 12.5×12.5 500
12.7×12.7 500 12.7×25.4 400
10×20 500 15.2×15.2 300
10×30 300 16×16 400
15×15 500/300 21×21 350
18×18 400/500 22.2×22.2 400
20×20 350 25.4×25.4 250
15×25 350 28.6×28.6 240
20×30 250 32×32 210
25×25 256 19.1×15.1 500
20×40 200 15×30 350/300
30×30 210 10×22 650
40×40 156/144 19×19 500
50×30 150 D22.2×27.5 300
50×50 100 15×20 400

 

* 위 번들당 수량은 A업체의 경우이므로 타사일 경우 변경될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일반구조용 각형강관에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